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경기도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경기도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30석1석


1. 개표 결과[편집]



1.1. 수원시[편집]


수원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염태영96,956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8.03%낙선
2김용서226,023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5.33%당선
3이대의22,9783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6.64%낙선
선거인 수763,586투표율
45.80%
투표 수349,757
무효표 수3,800

1.2. 성남시[편집]


성남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재명78,059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3.75%낙선
2이대엽177,531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7.37%당선
3장영하38,1443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11.61%낙선
4김미희34,9094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10.62%낙선
선거인 수744,287투표율
44.59%
투표 수331,884
무효표 수3,241

당시 집권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에서는 41세의 이재명 변호사를 공천했다. 열린우리당 이재명 후보는 저조한 당 지지율을 이겨내지 못하고 3선의원 출신에 현역 시장이었던 한나라당 이대엽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그나마도 보수세가 약했던 수정구와 중원구 표가 민주당, 민주노동당에게 분산되면서 25%조차 얻지 못했는데, 당시 수정구에서는 민주당, 중원구에서는 민주노동당 세력이 만만찮았기 때문이다.[1]

낙선한 이재명 후보는 2년 후에 치러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갑통합민주당 후보로 출마했지만 현역 의원이었던 한나라당 고흥길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2]

그리고 2년 후에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치러졌는데, 이재명은 민주당 후보로 성남시장 선거에 출마해 현역 성남시장이었던 이대엽 후보에 설욕하면서 당선되었고,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성남시장 재선에 성공했다. 이후 이재명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서 박근혜 탄핵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자신의 인지도를 높였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이재명이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경기도지사 선거에 출마해 현역 경기도지사였던 자유한국당 남경필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고, 제20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후보까지 되었지만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에 0.73% 차이로 밀려 낙선했고, 2022년 6월 재보궐선거에서 인천광역시 계양구 을에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고, 더불어민주당 대표까지 되었다.

1.3. 의정부시[편집]


의정부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영하45,790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35.58%낙선
2김문원82,886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4.41%당선
선거인 수299,556투표율
43.54%
투표 수130,424
무효표1,748

현역이었던 한나라당 김문원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1.4. 안양시[편집]


안양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승민61,628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7.00%낙선
2신중대141,888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2.17%당선
3김규봉11,5844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5.07%낙선
4강현만13,126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5.75%낙선
선거인 수464,009투표율
49.63%
투표 수230,308
무효표 수2,082

한나라당 신중대 후보가 당선되었지만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인해 2007년에 시장직을 잃었고 제17대 대통령 선거와 동시에 시행된 2007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이필운 후보가 열린우리당의 후신인 대통합민주신당 최대호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5. 부천시[편집]




1.6. 광명시[편집]


광명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경표(金暻杓)25,343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2.70%낙선
2이효선(李孝善)56,713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0.79%당선
3방호현(房昊鉉)15,7423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14.10%낙선
4이병렬(李秉烈)9,8144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8.79%낙선
5김인겸(金寅謙)2,3235위
2.08%낙선
6이연호(李連鎬)1,7086위
1.52%낙선
선거인 수239,187투표율
47.20%
투표 수112,919
무효표 수1,276

1.7. 평택시[편집]




1.8. 양주시[편집]




1.9. 동두천시[편집]


동두천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세창(吳世昌)10,2862위
31.57%낙선
2최용수(崔龍秀)16,5111위
50.68%당선
6노시범(盧時範)5,7793위
17.74%낙선
선거인 수63,655투표율
52.05%
투표 수33,133
무효표 수557


1.10. 안산시[편집]


{+1 [[파일:안산시 CI_White.svg}}} 안산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부좌현(夫佐炫)51,0172위
26.13%낙선
2박주원(朴柱源)99,9991위
51.23%당선
3김동현(金洞玄)20,4843위
10.49%낙선
4이하연(李夏淵)17,5914위
9.01%낙선
5김봉구(金鳳龜)2,4665위
1.26%낙선
6박명훈(朴明勳)1,9566위
1.00%낙선
7손동걸(孫東傑)1,6707위
0.85%낙선
선거인 수484,417투표율
41.40%
투표 수197,324
무효표 수2,141


1.11. 고양시[편집]


고양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유임85,1182위
28.77%낙선
2강현석195,7141위
66.15%당선
6강태희15,0103위
5.07%낙선
선거인 수651,799투표율
45.93%
투표 수295,842
무효표3,499


현역이었던 한나라당 강현석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1.12. 과천시[편집]


과천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진숙7,6802위
30.19%낙선
2여인국17,7531위
69.80%당선
선거인 수43,524투표율
60.14%
투표 수25,804
무효표371


1.13. 의왕시[편집]



1.14. 구리시[편집]


구리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영순(朴榮舜)29,5721위
43.44%당선
2지범석(池範奭)28,9132위
42.47%낙선
3박효영(朴孝寧)2,8214위
4.14%낙선
6김용호(金龍浩)6,7624위
9.93%낙선
선거인 수140,385투표율
48.93%
투표 수68,692
무효표 수624

구리시가 수도권에서는 유일하게 여당 열린우리당 당선인을 배출한 기초자치단체로, 덕분에 열린우리당은 수도권 전멸을 면했다. 열린우리당 박영순 당선인과 2위로 낙선한 한나라당 지범석 후보간의 격차는 단 659표로 단 0.97% 차였다. 두 후보 간의 격차가 무효표(624표)와 비슷한 수준.


1.15. 남양주시[편집]


남양주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해일(李海溢)32,9832위
22.46%낙선
2이석우(李錫雨)80,7151위
54.98%당선
3김종범(金鍾範)11,2543위
7.66%낙선
4양홍관(梁洪館)10,8645위
7.40%낙선
6서현석(徐鉉錫)10,9904위
7.48%낙선
선거인 수336,528투표율
44.15%
투표 수148,579
무효표 수1,773


1.16. 오산시[편집]


오산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곽상욱8,2263위
18.13%낙선
2이기하15,2841위
33.69%당선
3임명재2,8356위
6.25%낙선
5신건호4,1584위
9.16%낙선
6박신원10,4852위
23.11%낙선
7이춘성3,8435위
8.47%낙선
8조윤장5267위
1.15%낙선
선거인 수94,380투표율
48.62%
투표 수45,888
무효표 수531


1.17. 화성시[편집]




1.18. 시흥시[편집]




1.19. 군포시[편집]


{+1 [[파일:군포시 구 CI(2003–2020).svg}}} 군포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윤주(金潤周)35,9032위
34.83%낙선
2노재영(盧載榮)50,6961위
49.18%당선
3임채영(林采英)6,1084위
5.92%낙선
4송재영(宋在榮)8,6073위
8.35%낙선
5이종근(李鍾根)9055위
0.87%낙선
6조용민(趙容敏)8446위
0.81%낙선
선거인 수203,276투표율
51.07%
투표 수103,830
무효표 수767


1.20. 하남시[편집]


하남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병직5,6014위
10.80%낙선
2김황식21,1401위
40.78%당선
3김시화3,9135위
7.54%낙선
6박우량9,6553위
18.62%낙선
7이교범11,5292위
22.24%낙선
선거인 수103,677투표율
50.55%
투표 수52,413
무효표 수575


1.21. 광주시[편집]


광주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동헌(申東憲)15,2442위
21.12%낙선
2조억동(趙億東)41,0981위
56.96%당선
3이윤수(李允洙)8,4463위
11.70%낙선
6손동원(孫東元)1,7525위
2.42%낙선
7이우경(李雨京)5,6044위
7.76%낙선
선거인 수161,569투표율
45.23%
투표 수73,089
무효표 수945


1.22. 김포시[편집]


김포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영록(劉永錄)19,5392위
25.63%낙선
2강경구(姜暻求)34,9881위
45.90%당선
3김창집(金昶執)4,8204위
6.32%낙선
6김동식(金東植)16,8793위
22.14%낙선
선거인 수152,704투표율
50.50%
투표 수77,119
무효표 수893


1.23. 안성시[편집]


안성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영식21,9242위
34.60%낙선
2이동희34,3321위
54.19%당선
6정장훈7,0923위
11.19%낙선
선거인 수119,170투표율
54.08%
투표 수64,448
무효표 수1,100


1.24. 용인시[편집]


{+1 [[파일:용인시 CI_White.svg}}} 용인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우현(李愚鉉)63,2162위
25.61%낙선
2서정석(徐挺碩)132,1291위
53.54%당선
6김현욱(金顯旭)6,5684위
2.66%낙선
7이정문(李正文)44,8623위
18.17%낙선
선거인 수518,432투표율
48.12%
투표 수249,470
무효표 수2,695

당시 집권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에서는 경기도 용인시의회 의장을 역임했던 이우현 용인시의원을 공천했다. 한나라당에서는 서정석 후보를 공천했으며, 이에 반발해 이정문 당시 현직 경기도 용인시장이 한나라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보수표 분산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 서정석 후보가 과반 득표로 당선되었다. 2위로 낙선한 열린우리당 이우현 후보는 당선된 한나라당 서정석 후보의 절반 정도를 득표했으며, 이듬해인 2007년에 열린우리당을 탈당하고 한나라당에 입당했다. 2008년에는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한나라당 예비후보로 등록했지만 여유현에 밀려 공천을 받지 못해 한나라당을 탈당해 친박연대에 입당해 후보 공천을 받고 출마했지만 3위로 낙선했으며[3], 이후 친박연대를 탈당해 한나라당에 복당했으며, 친박계에 속했다. 2012년 2월 13일, 한나라당은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변경했고, 이우현은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경기도 용인시 갑에 출마해 당선되었으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졌을 무렵, 당시 국회의원들 중에서 가장 먼저 박근혜 탄핵에 반대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16명[4]에 속했다. 2017년 3월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에는 삼성동계[5]의 일원이 되었으며 2019년 5월 30일,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인해 대법원에서 징역 7년형의 실형을 선고받으면서, 최종적으로 의원직을 완전히 잃고 수감되었다.[6] 이후 이우현 전 의원은 2023년 8월 14일에 가석방되었다.[7]


1.25. 이천시[편집]


이천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완우12,5872위
19.17%낙선
2조병돈36,2491위
55.22%당선
3이세구5,4304위
8.27%낙선
6박재한3,8155위
5.81%낙선
7이사현7,5583위
11.51%낙선
선거인 수140,754투표율
47.40%
투표 수66,714
무효표 수1,075

1.26. 파주시[편집]



1.27. 포천시[편집]



1.28. 가평군[편집]



1.29. 양평군[편집]



1.30. 여주군[편집]



1.31. 연천군[편집]




[1] 수정구, 중원구가 같은 성남 구시가지로 묶이긴 하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좀 차이가 있다. 수정구는 1970년대부터 호남 출향민 비중이 높다보니 동교동계 지지세가 있었고, 중원구는 그 유명한 경기동부연합의 근거지라서 NL계열 민노당 세력이 강했다.[2]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갑노무현 탄핵 가결에 대한 역풍으로 인해 열린우리당이 과반 확보로 압승하고 한나라당이 참패했던(원유철과 같은 한나라당 중진 후보들도 대거 낙선했다.)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현역 의원이었던 한나라당 고흥길 후보가 과반 득표는 물론이고 열린우리당 허운나 후보를 10% 이상 앞서면서 당선되었기 때문에 이재명의 당선은 불가능하다고 보일 정도였다.[3] 친박연대 이우현 후보가 25.62%를 득표하면서 보수표 분산으로 인해 통합민주당 우제창 후보가 한나라당 여유현 후보를 4.81% 차이로 꺾고 어부지리로 당선되었다.[4] 김진태, 이우현, 홍문종, 서청원, 최경환, 이완영, 김종태, 김상훈, 조원진, 이장우, 정갑윤, 윤상현, 민경욱, 이정현, 정진석, 정우택[5] 김진태, 이우현, 서청원, 최경환, 조원진, 윤상현, 민경욱, 박대출, 이 중 서청원, 최경환, 조원진, 윤상현은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가 폭로한 진박 9인회의 멤버이기도 한다.[6] 정확히는 2018년 1월 4일에 같은 친박계이면서 경상북도 경산시에서 국회의원에 재임 중이었던 최경환과 함께 구속되었다. 여담으로 최경환도 국정원 사건에 연루되어 2019년 7월 11일에 대법원에서 징역 5년형이 확정되어 의원직을 잃었다.[7] 다만 2025년 1월 3일까지는 전자발찌를 착용해야 한다.